주간동아 기고문: ‘모성 불이익’ 최대 피해자는 고소득 전문직 여성


통계청은 ‘신혼부부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맞벌이 신혼부부의 소득이 많아질수록 아이를 덜 낳는다는 것이다. ... 


국가 간 비교연구를 보면 인당 소득과 출산율에는 매우 강한 부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 한 국가 안에서 소득 수준에 따른 출산율을 봐도 마찬가지다. ... 소득이 높은 가정에서 출산율이 낮은 것은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현상이 아니라 세계적 현상이다. 


하지만 이 결과만으로 맞벌이 부부의 소득이 출산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을 바로 도출할 수는 없다. ... 


댄 블랙 미국 시카고대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미국 애팔래치아 탄광지대의 출산율 변화를 살펴봤다. 1970년대 에너지 위기로 석탄 가격이 상승했고, 이 때문에 애팔래치아 탄광지대의 가구 소득이 증가했다. 반면 비슷한 교육 수준을 가진 다른 지역의 가구는 같은 기간 소득 증가가 없었다. 애팔래치아 탄광지대의 가구 소득 증대는 순전히 외부 충격 때문이었다. 이렇게 애팔래치아 탄광지대에서 소득이 우연히 증가했을 때 출산율이 떨어지기보다 오히려 올라갔다. 소득 증가가 출산율 증가를 이끈 것이었다. 


혹자는 1970~80년대와 지금은 다르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21세기 이후 미국에서 주택 가격 상승이 출산율에 끼친 영향을 연구한 마이클 러븐하임 코넬대 교수와 케빈 멈퍼드 퍼듀대 교수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주택 가격이 1억 원 상승할 때 신생아 출산 확률은 약 17% 증가했다. 21세기에도 소득 증가는 여전히 출산율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사회과학에서는 ... 소득이 원인이고 출산율이 결과인 관계뿐 아니라, 출산이 원인이 돼 소득에 미치는 영향도 따지고 연구한다. ... 여성은 출산과 소득에 부정적 관계가 있는 데 반해, 남성은 자녀 출산과 소득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사회학에서는 전자를 모성 불이익(Motherhood Penalty), 후자를 부성 프리미엄(Fatherhood Premium)이라고 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력단절이 출산 후 여성 소득 하락의 상당 부분을 설명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경력단절이 모성 불이익의 모든 것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미셸 부디그 미국 매사추세츠대 교수와 폴라 잉글랜드 뉴욕대 교수의 공동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신생아 1명이 늘어나면 여성 소득은 7%가량 하락한다. 그런데 경력단절 효과는 이 가운데 2%p밖에 설명하지 못한다. 여성은 경력단절이 없어도 출산 후 5% 정도 임금 하락을 경험한다. 그리고 이 모성 불이익은 고소득 전문직 여성에게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저소득 여성은 모성 불이익이 4~7%이지만, 고소득 전문직은 모성 불이익이 자녀 인당 10%를 상회한다. 전문직일수록 출산과 육아에 따른 페널티가 크다. 고소득 맞벌이가구에서 출산율이 낮은 이유는 이 집단에서 나타나는 모성 불이익이 다른 집단보다 크기 때문이다.  ...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