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원본은 안읽어봐서 모르겠고, 보도자료에 따르면


원종욱 선임연구위원의 ‘결혼시장 측면에서 살펴본 연령계층별 결혼결정요인 분석


ㅇ 혼인율 제고정책은 미혼자가 교육에 투자하는 기간(t1)을 줄여주는 정책과, 미혼남녀가 매칭되는 기간(t2)을 줄일 수 있는 정책, 결혼시장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계층(결혼시장이탈계층)을 줄일 수 있는 정책으로 구분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ㅇ 교육투자기간을 줄이는 정책은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불필요한 휴학, 연수, 자격증 취득 등이 채용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지하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을 것. 시간을 합리적으로 투자할 줄 아는 인재를 뽑는다는 것을 고용시장에 알림으로써 불필요한 스펙 쌓기로 시간과 돈을 허비하는 것을 막고 지원자와 기업 간 탐색과 매칭이 일어나는 연령을 낮출 수 있을 것임


ㅇ 또한, 교육투자를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남녀가 서로 원하는 상대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IT 기술과 연계하여 높여줄 수 있는 정책개발 필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바쁜 일상을 대신하여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대신하여 배우자를 탐색할 수 있는 정보기술을 개발하여 대학에 보급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음


 ㅇ 마지막으로, 여성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하향선택결혼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회관습 또는 규범을 바꿀 수 있는 문화적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 이는 단순한 홍보가 아닌 대중에게 무해한 음모수준으로 은밀히 진행될 필요가 있음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대신하여 배우자를 탐색" 한다거나, "단순한 홍보가 아닌 대중에게 무해한 음모수준으로 은밀히 진행"과 같은 얘기는 정상적인 보고서에서 할 수 있는 얘기가 아님. 농담이 아니라 이 분 정신건강에 뭔가 적신호가 켜졌다는 것. 


그건 그렇고 여성의 교육과 소득 향상에 따라 강혼(=hypogamy 하향결혼)이 불가피하다는 것은 맞는 얘기임. 


현재 미국에서 교육 승혼(= educational hypergamy 여성보다 남성의 학력이 높음) 보다는 교육 강혼 (= educational hypogamy 여성보다 남성의 학력이 낮음)이 더 보편적임. 현재 작업 중인 논문에서 계산해보니 2010년 기준으로 35-44세 결혼커플 중 여성의 학력이 높은 비율이 35%, 낮은 비율이 27%임. 같은 비율은 37%. 미국은 이미 여성의 교육 강혼이 보편화됨. 


강혼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려면 학력이 낮은 남성이 학력이 높은 여성을 서포트하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함. 현모양처, 엄부자모 모델에서 탈피해 소울메이트로써의 배우자 상이 확립되어야 여성의 교육 강혼이 보편화될 수 있을 것. 


현재 상황은 사회구조는 평등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mate로써의 가족 형성을 강제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는데, 결혼시장 밖에 있는 기성세대가 이러한 사회구조적 변화를 무시하고 과거의 사회구조에서나 가능했던 전통적 가족관을 강요하고 있는 상태.


사회학의 지배적 시각은 구조적 변화보다 강한 힘은 거의 없다는 것. 시간 문제임.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