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기사: 종로 고시원 화재


예전에는 빈민들이 판자촌에 모여 살았다. 도시빈민들의 집단 거주지가 형성되어 있었고, 철거 문제가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여기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도 쏟아졌고. 


한국은 빈곤층을 일반 주택지에 흡수한, 중산층과 빈민층이 비슷한 지역에 섞여 살게 만드는데 가장 성공한 국가 중 하나다. 더 이상 판자촌이나 주택 강제 철거 지역이 없다. 


그래서 나타난 효과가 <가난이 보이지 않는 사회>가 된 것이다. 아래 풍경은 이 번에 화재사고가 난 고시원 앞에서 바라본 풍광(구글맵)이다. 여기서 가난에 찌든 모습이 보이는가? 




사회과학에서 주거분리(segregation)가 빈곤층의 웰빙에 부정적이고 빈자와 중산층이 섞이게 되면 중산층이 마련해 놓은 지역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빈곤층의 상향 이동과 생활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일반적으로 얘기한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의 모습이 눈에서 사라진 우리 사회, 주거분리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한국 사회는 빈곤층의 상향 사회 이동과 생활 수준 향상을 이룩하였는가? 


한국을 방문할 때 이 문제를 여러 사람들에게 물어봤다. 학자들에게도 물어보고, 도시빈민 종교 단체에 찾아가서도 물어보고. 


답은 아무도 모른다. 연구가 없으니까. 


제정구, 이부영, 김수현 등등 지금 힘있는 위치에 있거나 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도시 빈민 운동을 했다. 하지만 도시 빈민의 집단 거주가 없어지면서, 도시빈민 운동을 하던 분들은 다른 시민단체나 정당으로 흡수되었다. 도시빈민을 연구하던 사회과학자들은 대부분 다른걸 연구한다. 

예전에 포스팅했지만, 한국의 불평등은 상위 90% 랭크와 중간 50% 랭크의 격차가 벌어져서가 아니라, 중간 50% 랭크와 하위 10% 랭크의 격차가 벌어져서 늘었다.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져서 불평등이 더 커진 것. 

주거분리 극복이 생활 수준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위 50%에서의 격차는 줄었어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았다. 그럼 주거분리 극복으로 하위 계층의 자녀들은 어떤 혜택을 보았나? 과거에 비해 도시 빈민의 세대간 이동률이 높아졌나? 

답은 아무도 모른다. 대부분 관심이 없으니까. 

한겨레 안수찬 기자가 여기에 대한 글을 여러 편 썼다. 한겨레 21에서 특집도 냈고. 한겨레 정도에서 다뤄서는 별 효과가 없는 듯 하다. 

국영방송에서 <보이지 않는 가난>을 한국적 빈곤의 특징으로 보도하는 특집 같은거 해줬으면 좋겠다. 그래야 관심도 받고 연구도 하고 대안도 나오지. 




Ps. 사망자가 큰 이유 중 하나가, 비가 와서 건설 현장에 나가지 않고 고시촌에서 늦잠을 잤기 때문이다. 이런 곳에 사는 사람들의 호구지책은 기사에도 나오듯이 건설현장이다. 진보 정권의 삽질 백안시가 어떤 계층에게 타격을 주는지 바로 알 수 있지 않은가. 건설은 지역토호의 배를 불리기도 하지만, 한국에서 건설보다 하위 계층으로 떡고물이 더 내려가는 다른 메카니즘이 아직 없지 않은가.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