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월에 발표한 "경력단절 이전 20대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 논문이 일부 분들에게 입힌 내상이 상당히 큰 듯. 아직도 활발하게 댓글이 올라옴. 

 

대부분의 반론이 이미 다 답했거나 언급할 가치가 없는 것들이라 걍 무시하는데, 여러 분들이 노동시간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

 

노동시간 문제는 공급의 측면도 있지만 수요의 측면도 있음. 남성은 대기업 정규직으로 취업해서 주 40시간에 야근까지 하는데, 여성은 취업이 안되어서 알바를 뛰기 때문에 주 20시간 밖에 일하지 못하면, 이 때의 성별 격차는 시간 당 임금을 넘어서 총소득 격차로 인식해야 함. 노동시간을 통제하지 않은게 omitted variable bias가 아니라 이렇게 봐야하는 이론적 이유가 있다는 것. 

 

그래서 논문에서는 월소득으로 본 것. 노동시간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을 것 같아서, part-time workers를 제외한 full-time workers만의 분석도 robustness checks의 하나로 제시. 

 

이러한 robustness checks에도 불구하고 대졸 직후 남성이 여성보다 절대적으로 더 오랜 시간 일한다고 믿는 모양. 이 블로그에와서 난리를 피우는 분들이 객관적 데이터를 제시한다고 자신의 의견을 바꾸거나 대오각성하여 편견을 고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음. 그렇게 객관적인 분들이었으면 나님의 논문을 발표했을 때 충격먹고 자신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태세 전환했을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입장에서 데이터를 분석해서 답하는 수 밖에. 

 

이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모든 인적자본을 통제하는 모형을 다시 측정함. 대상은 full-time workers로 제한. 그랬더니 여성의 소득 불이익은 -.178 로그 포인트. 대략 남성보다 소득이 16.3% 적음. 파트타임 노동자까지 포함한 모델에서 -.191이었던 것에 비해서 겨우 .013 로그 포인트 여성불이익이 줄어듦. 

 

이 번에는 같은 모델에 그토록 오매불망 노래를 부르는 노동시간까지 통제. 즉, 풀타임 노동자의 노동시간과 인적자원까지 모두 통제하여 성별 소득 격차를 측정. 그랬더니 여성의 소득 불이익은 -.173 로그 포인트. 노동시간을 통제하지 않았던 모델에 비해서 .005 로그 포인트. 대략 0.5%의 여성 소득 불이익이 줄어듦. 

 

요약하면 노동시간의 성별 격차가 설명하는 여성의 남성 대비 소득 불이익은 0.5%포인트. 액수로 한 달에 평균 1만7백오십원. 나님도 이 정도는 남성이 더 받아도 된다고 굳게 믿음.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오랜 시간 일한다는 편견과 달리 20대 대졸 full-time workers 의 주간 노동시간은 남성 42.8시간, 여성 41.6시간으로 1시간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음. 

 

성별 소득 격차는 노동시간의 문제가 아님.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