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불평등

여성의 서울 선호 때문에 소득이 적다?

sovidence 2019. 3. 9. 03:05

아래 댓글에서 여러 분이 여성의 소득이 낮은 이유 중의 하나가 여성의 수도권 (특히 서울) 선호 때문에 지방의 고소득 일자리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데,  


학문적으로는 compensating differentials에 대한 논의임. 


여기서 또 한 번 논문을 읽으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은게, 이 정도의 주장은 다 알고 다 통제했음. Base Model에서 거주 지역 통제했고, Meritocracy 모델에서, 출생지역, 출신학교 지역, 현재 거주지역 모두 통제되어 있음. 


그러니까 17% 이상의 성별 소득 격차는 출신학교, 전공학과와 출신학교 지역, 현재 거주지역 효과까지 다 통제한 다음에 나타나는 성별 격차임. 


같은 학교 같은과 같은 지역 출신인 여성이 지방을 내려가지 않아서 생기는 격차, 즉 실제로는 성별격차가 아니라 거주지역 선호에 따른 격차지만, 마치 성별격차처럼 보이는 효과라면 거주지역 통제로 여성의 효과가 흡수됨. 


논문에서 썼듯이 그렇지 않음. 지역 통제 후에도 여전히 여성의 소득은 상당히 낮음. 





그건 그렇고, 


애초에 지방에 고소득 일자리가 있다는 가정은 맞을까?


지방에 고소득 일자리가 있다면 구체적인 학교와 세부 전공, 출생지역(그래서 돈을 조금 벌어도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수구지심)을 통제한 모델에서 서울 거주자 보다 지방 거주자의 소득이 높아야 함. 


하지만 현실은, 서울의 직장에 다니는 사람에 비해, 다른 모든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대학 졸업 2년 내 소득은, 


경기도 거주자는 서울 거주자와 차이가 없고, 

충청 거주자는 소득이 2% 낮고, 

영남 거주자는 소득이 7% 낮고, 

호남 거주자는 소득이 4% 낮고, 

기타 지역 거주자는 소득이 7% 낮음. 


전공이나 특정 직업에 따라 서울보다 지방의 소득이 더 높은 일자리가 없지는 않겠지만, 평균적으로 모든 조건이 같을 때 가장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일자리가 있는 곳은 서울임. 사람들의 서울/수도권 선호가 그냥 생기는게 아님. 





그리고 지방에 좋은 일자리가 많은데 안내려가고 상당수 여성이 서울에 집중되는 것이 여성이 고소득 일자리 보다 다른걸 선호하는 증거라면, 


반대로 다른 모든걸 다 통제해도 서울의 소득이 가장 높고, 여성이 서울에 더 집중된다면, 여성이 남성보다 고소득 일자리를 더 선호한다는 증거임? 


지방으로 남성이 더 많이 내려가는 건 남성이 집값높고 출퇴근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경쟁이 심한 일자리보다는 공기좋고 뭔가 여유있지만 저소득인 일자리를 선호한다는 증거임? 






Ps. 뀨뀨님의 활약 덕분에 이 사이트 방문자가 크게 늘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하지만 이제 조금 쉬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이 글에 다시는 댓글은 확실히 의미가 있다고 제가 느껴지지 않으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