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뉴스: 박영선, 응답률 10% 미만 여론조사 공표 금지법 발의

선관위 여론조사 공청회 개최


결국 여론조사가 틀린 원인에 대한 제대로된 진단없이 규제만 강화하겠다는 것. 


진단을 할려면 돈을 써야 하는데, 돈은 안쓰고 입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발상. 여론조사 전문가들도 왜 틀렸는지 모르는데 공청회 한다고 답이 나옴? 왜 틀렸는지 알면 총선에서 그렇게 다 틀리게 조사했겠음? 


데이타에 근거해 선거를 예측한다는 여론조사마저 데이타 없이 문제를 진단하는 모순을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건지. 




여론조사의 문제점이 선관위에서 발표하고 박영선 의원이 발의한 낮은 응답률이나 떳다방 조직에 있었다면, 지난 총선에서 선관위 규정을 충족하고 응답률이 높았던 조사는 당선자를 제대로 예측했을 것. 


하지만 결과는 거의 모든 조사가 다 틀렸음. 


안심번호 공유 확대는 찬성이지만, 안심번호를 이용했던 정당의 자체 여론조사는 제대로 맞았음? 


응답률 10%가 무슨 magic wand도 아니고. 





아래는 여론조사 관련 주간동아에 기고했던 글의 일부. 전화조사 응답률 10% 미만으로 나오는 것은 거의 세계적인 추세임. 


주간동아 기고문: 졸속여론조사에 졸속 진단


"...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조사기관 가운데 하나인 퓨리서치(Pew Research)의 응답률은 평균 9%에 불과하다. 전화조사 평균 응답률이 30%를 넘은 것은 20년 전 일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화 여론조사 응답률이 30% 선을 유지하는 조사기관은 한 곳도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수년 전 퓨리서치는 평소대로 응답률이 9%에 불과한 여론조사와 비용을 훨씬 많이 써 응답률이 22%를 기록한 여론조사를 비교한 바 있다.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 심지어 한 연구에 따르면 설문지를 줄이고 응답자에게 금전적 보상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답률을 90%까지 높인 후의 여론조사 결과와 응답률이 30% 이하였던 여론조사 결과 사이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응답률이 낮은 조사와 높은 조사 사이에 큰 결과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한국만 예외가 될 만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일까. 


응답률 30%인 여론조사가 응답률 10%인 여론조사보다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응답률이 아무리 낮아도 무응답이 무작위로 이뤄지기만 한다면 결과는 정확히 나온다. 응답률이 여론조사의 오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증거 없이 법률로 높은 응답률을 강제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제품 품질 개선 없이 가격만 올리는 일과 흡사하다. ... "


장기간에 걸친 가구 방문조사면 응답률을 높이는 것으로 편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지만, 전화 조사에서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음. 


"여론조사를 개선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오류 원인을 찾는 체계적인 연구다. 원인도 모르면서 대책을 세울 수는 없지 않은가. 이는 공청회를 반복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구체적인 분석 없는 공청회는 똑같은 졸속 진단을 반복할 뿐이다.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와 여론조사 전문기관들이 비용을 대고 자료를 모아 구체적인 진단을 마련해야 한다. 비용 지불 없이 세울 수 있는 대책은 없다."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