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여성문제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굉장히 독특하다.

교육수준으로 따지면 남녀평등이 거의 이루어졌고, 여성의 개발정도도 전세계 상위권이다. 하지만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사회적 성취도를 보면 전세계 바닥권. 교육수준의 향상과, 노동시장, 사회적 지위의 향상이 같이 변화하는 다른 나라의 "일반적" 현상과 거리가 있다. 여성의 교육과 노동이 이토록 괴리된 사회가 일찍이 있었나 싶다.

2차 대전을 거치면서 미국은 여성의 노동참여가 먼저 이루어졌고, 그 다음에 교육수준이 향상되었다. 중산층의 맞벌이는 자연스럽다. 하지만 한국은 "여공"으로 대표되는 저학력 여성의 노동참여 이후 고학력 여성의 지속적인 대규모 노동참여로 이어지지 않았다.

우석훈 박사가 가끔 그의 블로그에 "배운뇨자"(맞나?)라는 개념을 소개하던데, 그가 하고 싶었던 말은 아마도 <교육 수준은 높지만 사회적 활동이 타 선진국과 다른 한국 여성>을 개념화하고 싶었을 것이리라.

<대치동 현상>으로 표현되는 한국의 뜨거운 교육 열기는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교육받은 여성이 자신을 능력을 다른 곳으로 발산해 생긴 부가물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한다. 기러기가족도 외국에서 혼자 자녀를 돌볼 수 있을 만큼 능력있는 여성들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헬리콥터 맘>도 높은 교육 수준 덕분에 높은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쓸 데가 마땅치 않은 여성들의 출구가 아닐지.

불평등을 증가시키는 (부부 모두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한국 중산층의 높은 임금 인상 요구는 소비 욕구는 맞벌이하는 선진국과 다를 바 없으나, 수입은 남편의 외벌이에 의존해 적기 때문에 가중되는 현상이 아닌가라는 의심도 한다. 참고로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후 남성의 임금은 상위 10%를 제외하고는 지난 30년간 전혀 오르지 않았지만, 거의 모든 직종에서 여성 임금은 꾸준히 인상되었다.

세대간 계급이동이 단절되었고, 그 단절의 매개가 교육이라고들 한다. 그런데 교육불평등 재생산의 핵심행위자는 <교육 수준은 높지만 노동시장 활동은 하지 않는 한국 여성>일 것이다.

한국 여성문제. "명절 때의 역할 분담", "시댁 문제", "육아문제"도 중요하지만,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문제를 다루어야 하지 않는가라는 생각이 들고, 이 문제의 해결, 개선은 외국의 정책을 베끼는 것에서 벗어나 한국만의 창의성이 요구되는 영역이 아닌가라는 생각이다.


ps. 일본은 어떤지 궁금하다...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