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생산성 향상이 기대했던 것과 달리, 과거의 통계 수치에서 보여줬던 것과 달리 형편없이 낮다는 충격적인 기사가 비즈니스위크지에 나왔다.

정부의 공식통계는 연간 1.7%의 생산성 향상이었지만, 이는 정부 통계가 엉터리이기 때문이고, 진짜는 1.3%에 불과하고, 제조업만 따지만 1998-2007년 사이에 평균 0.8%로 추락한다는 거다. 0.4%가 뭐 대순가 하는 분들 있겠지만, 이거 대수다.

이 얘기는 "신경제"론자 들이 얘기했던, 1990년대 이후 미국의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발전해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장밋빛 얘기가 모두 틀렸다는 얘기다.

폴 크루그만이 자신은 신경제를 믿지 않는다고 하더니만, 결국 그렇게 증명되나?

별로 중요하게 안들리겠지만, 이 얘기는 1990년대 이후의 경제에 대한 핵심 논쟁이고, 현재의 경제 위기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한 요소다. 생산성 향상에 대한 장밋빛 기대가 거품을 키웠다는 비판이 많이 있었다.

통계가 이렇게 엉터리가 된 이유는 수입 물품에 대한 추적이 어렵기 때문이란다. 언듯 읽어도 쉽게 이해가 안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이렇다. 1000불에 팔리던 같은 기종의 컴퓨터가 이제는 800불에 팔린다. 생산성이 향상된 것이다. 그런데 그 이유는 주로 1000불 컴퓨터에서 200불에 수입하던 부품 가격이 50불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1000불에서 800불로의 생산성 향상은 대부분 수입 가격이 차지하는 거다.

그런데 수입품은 이미 기종이 업그레이드되어서 50불짜리가 아니라 업그레이드된 200불짜리를 대부분 수입한다. 하지만 가격변화와 기종변화가 같이 추적되지 않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된 200불짜리를 여전히 과거의 그 기종으로 통계를 잡는거다. 반면 미국 제품들은 추적 조사가 아주 잘 이루어진다.

그 결과 1000불에서 800불로 20% 생산성 향상된게 대부분 미국 내에서의 생산성 향상으로 잡히게 되는거다. 사실은 모조리 수입품의 가격인하임에도 불구하고. 이 현상을 밝혀낸, 나카무라와 스타이슨 교수에게 경의를 표한다.

이로써 컴퓨터의 보급은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업에 더 많이 이루어졋는데, 왜 생산성 향상은 주로 컴퓨터 제조업에서만 주로 관찰되는지에 대한 오랜 의문은 풀린 셈이다.

이 논쟁은 돌아가신 양신규 교수님의 논문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나는 작년에 미국의 경제위기를 보면서 그 분에게 여기에 대해서 묻고 싶었다. 아마 관련된 학자들은 벌써 누가 옳았는지 누가 틀렸는지 추가 검증하기 위해 팽팽 돌아가고 있겠지.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