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켑렙에서 의사들의 프롤레타리아트화(?)에 대한 비분강개가 넘친다.

예전에 대학 전공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에 대해 연구한 적이 있다. 이공계 위기론이 한창일 때, 어떻게 하면 의대를 안가고 이공대를 가게할까를 고민하던 시절이다. 내가 내린 결론은 이공계를 의대만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게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오히려 의대의 노동시장 성과를 줄이는게 쉽다는 것이었다.

아래 그림은 각 전공별로 대학 졸업 후 어떤 직업을 평생 유지하는가이다. 놀라운 사실은 공학계 출신이 대학(원) 졸업 직후에는 좋은 직업을 가지지만 나이가 들수록 그 직업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50대가 넘어가면 공학계 출신이 차지하고 있는 직업 위계는 사회계열보다 낮아진다. 공학계의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변화 속도에 맞추어서 업데이트하는게 쉬운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면 의대는 졸업하면 평생 의사다. 실업률 낮고, 직업 안정성 높고, 임금 안정성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대단히 높았다.



현재 언론 지상에 오르내리는 얘기는 물론 과장이 있을 게다. 지금까지도 그랬고, 앞으로도 의대 출신의 절대 다수가 물질적으로 편안한 삶을 누리가 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신문 기사에 오르는 의대 출신의 어려움이 몇 개 에피소드를 넘어, 의사라는 직업의 절대적 직업/임금 안정성에 약간의 크랙이 가는 얘기라면, 요즘 고등학생들은 의대에 지원하기 보다는 이공계에 지원할 눈꼽만한 이유가 생기는 셈이다. 의대 지원이 평생 밥벌이를 보장하지 못한다면, 비슷한 risk-reversion 성향으로 이공계를 지원하는 사람이 늘어날 테니까.

사회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 나쁘지 않은 소식이다.



주1: 위 그래프는 대학 전공계열별 취업 조건부 "좋은 직업" 취득 확률이다. 헤크만 2단계 프로빗 모형을 돌린 후 연령별 확률을 구한 것이다. 좋은 직업은 평균 직업 위계보다 1표준편차 높은 직업으로 정의하였다. 직업 위계 계산은 Hauser & Warren (1997)의 교육에 의한 계산법을 따른 것이다. 데이타는 2000년 인구총종사다.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