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사회학 공부할 때는 폴라니에 대해서 하도 날라리 학생이라 별로 들어보지 못했는데, 미국에 오니까 폴라니를 읽힌다. 요즘 한국에서 유행인 폴라니는 미국에서는 이미 10년도 전에 유행이었다.

현대 경제사회학 재발견의 콜럼버스라 해도 과언이 아닌 그라노베터가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이라는 논문을 발표한게 1985년이다. 그 후 사회학에서 산업사회학(industrial sociology)이 거의 없어지고, 경제사회학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개인적으로 그리 선호하는 이론은 아니지만, 한국에서도 대유행하고 있는 네트워크 이론도 경제사회학의 한 가지다. 요즘은 경제사회학과 계층론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많다.

어쨌든 그라노베터가 차용한 "embeddedness"라는 개념은 폴라니가 바라보는 시장관계와 사회관계의 핵심이다.

(그런데 이 개념은 요즘에 너무 광범위하게 쓰여서 오히려 무슨 뜻인지 불명확하게 되어버렸다. 그 탓인지, 얼마 전에 그라노베터는 자신은 더 이상 embeddedness의 학자라 아니라고까지 얘기했었다.)

하도 여기저기서 폴라니 폴라니 하다보니 프레시안에서 폴라니 제대로 알기 캠페인을 벌였다. 홍기빈 박사가 강연을 한단다.

두 번의 강연 요약이 올라왔는데, 첫번째 강연은 경제조직원리로써 market; redistribution; reciprocity라는 개념을 이해하기같고, 두번째 강연은 market이 전일적인 경제조직원리로 등장하는 역사적 과정에 대한 얘기다. 첫번째 강연 요약은 재미있고, 두번째 강연 요약은 너무 많은 얘기를 짧은 시간에 해서인지 그저 그렇다. 일독을 권한다.

강연요약 1: 인간과 시장
강연요약 2: 자기조정시장 개념

참고로 아직 홍기빈 박사의 강연에서 언급되지는 않았는데, 폴라니는 파시즘의 탄생을 영국의 빈민구호법에서 찾는다.

그럼 왜 요즘 갑자기 폴라니인가? 홍기빈 박사의 강연은 여기에 대한 답을 주는 것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혹시 홍박사가 언급하지 않으면 나중에 한 번 얘기하겠다.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