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사정

기타 2009. 6. 3. 08:53
어느 조직이나 아주 많은 룰이 있다. 이 룰들은 일이 잘못되는 것을 막는 최선의 행동양식이라고 문서상으로 규정된 것이지만, 모든 룰들을 지키면서 할려다보면 일의 효율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문서상의 조직의 룰을 조금씩 어기면서 일한다. 이걸 모두 지키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관료제의 폐해라고들 욕한다.

조직에 속해서 일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다 안다. 모든 룰을 지키면서 일을 하는 조직은 세상에 하나도 없다는 것을.

그런데 어쩌다가 일이 잘못되었을 경우, 평소에 아무도 안지키고 거들떠보지 않던 조직의 룰을 이용하여 몇몇 사람을 벌하고, 조직을 보호한다. 조직이 잘못된게 아니라, 룰을 지키지 않은 개인의 잘못으로 마무리짓는다. 이런 측면에서 사문화되다싶이한 조직의 룰도 기능이 있다.

기능주의적 해석이고, 조직사회학에 나오는 내용이다.

이런게 현대 관료제의 특징 중 하나이기에, 모든 조직이 털면 조직의 룰에 어긋나는 행위가 나오게끔 되어 있다. 조직이나 조직에 속한 특정인을 벌할 목적으로 잘못이 불거지지 않았음에도 조직의 룰을 어긴 경우를 세밀히 찾는 행위를 "표적사정"이라고 한다.

룰로 따지면 위반인건 맞는데, 악의가 있었던 것도, 일이 잘못된 것도, 과거와 달리 행위한 것도, 남들과 달리 행위한 것도 아니다. 새로 들어온 사람이 달리 행동하는 것도 아니고, 정작 조직을 털고 있는 사정주체의 행태가 다른 것도 아니다. 단지 사정권을 가진 권력자에게 찍혔다는 거다.

표적사정의 결과를 보고, 니가 룰을 위반한 건 맞지 않냐고 목소리 높이는 양반들은, 조직의 개선이라든가, 룰의 합리화라든가, 잘못의 시정이라든가, 이런 것에 관심이 있기 보다는 적어도 이 사안은 권력자의 편에 서기로 결정한 거다.

선진국에서 매니져들에게 정해진 원칙에서 벗어나는 결정을 할 권리를 많이 주는 이유는, 엄격한 잣구해석을 통해 조직을 진단하는 것의 오류를 알기 때문이다. 관행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은 소소한 잘못으로 조직과 그 관리자에게 책임을 묻는 경우도 드물다.

표적사정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새로운 법이 아니라, 그렇게는 안한다는 광범위한 암묵적 사회적 합의다. 그런식으로는 안하는게 상식이 되는거다. 법으로 정하기 어렵고 쉽게 따라할 수 없는 사회 문화다.

최근에 문화부 감사 이후에 쫓겨나는 많은 사람을 보면서 드는 생각이다.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