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지역별 인구 변화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는데, 지자체 선거도 다가오고, 수도권의 승부가 주관전 포인트이니, 서울의 인구 감소와 경기도의 인구 증가를 살펴보자.
아래 표는 2000년 인구총조사를 이용해서 지난 5년 간 광역대도시 단위에서 주거지를 옮긴 인구수의 추정치다 (인구총조사의 롱폼 설문의 public use sample에 표본 확률에 따른 frequency weight를 적용하여 실제 인구추정). 신규 출생자와 해외유입 인구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표 1. 1995년과 2000년 사이의 인구 이동.
|
서울 |
경기 |
기타 |
5년전 거주지 |
|
|
|
서울 |
- |
1,265,905 |
433,010 |
경기 |
509,807 |
- |
439,635 |
기타 |
422,993 |
466,983 |
388,119 |
보다시피 서울에서 경기도로 나간 인원수는 대략 130만명, 경기도에서 서울로 들어온 인구수는 50만명이다. 서울에서 경기도로의 순유입이 80만명이다.
서울과 경기 간의 인구 이동이 전체 광역 시도간 인구 이동의 45%를 차지한다.더 이상 한국의 지역 간 인구이동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전하는 스토리가 중심이 아니다. 수도권 내에서의 이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런 패턴이 90년 이후 지난 20년간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서울탈출민과 서울유입민의 계층적 차이가 있는가? 서울탈출민 중 경기도 이주자와 기타 지역 이주자에도 계층적 차이가 있는가?
답은 "그렇다"이다. 초간단으로 인구이주자의 특색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울->경기: 중간층
서울->기타: 서민층
경기->서울: (중)상층
기타->서울: (중)상층 내지 학생
지나친 단순화를 무릅쓰면, 계층지위 중간층 30대 신규세대의 서울에서 경기도로의 탈출, 계층지위 상층의 서울유입. 계층지위 하층은 타 지역으로의 전출로 요약된다.
한국 정치에서 계층적 결정성이 강화된다고 가정하면, 장기적으로 진보진영의 서울 승리는 점점 어려워질 것이고, 경기도의 가능성은 증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