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그래프는 가계동향조사를 결과를 이용해 2003년 이후 분기별 하위 20%의 소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보여주는 그래프. 


이 그래프를 그릴 수 있는 데이타의 소스는 요기


오른쪽의 붉은선이 2018년에 2017년 대비 어떻게 변화했는지임. 2017년 4분기에 150만원이던 하위 20%의 평균 소득이 2018년 1분기에 129만원으로 뚝 떨어짐. 이는 2012년 수준으로 잃어버린 6년이 벌어진 것. 


언론보도에서는 올해 1분기에 작년 동기 대비 1분위 소득이 8% 정도 낮아졌다고 하는데, 지난 분기 (즉, 2017년 4분기) 대비로 보면 하위 20%의 소득이 14% 대폭락한 것.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이런 일은 통계청에서 분위별 소득을 보고한 이후 한 번도 벌어진 적이 없음. 


폭락도 이런 폭락이 없는 대폭락임. 2008년 경제 위기 때도 이런 일은 없었음. 작년 말 올해 초에 경제 대위기가 있었던 거임? 


데이타가 튀어도 이렇게 너무 튀면 이 자료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타의 문제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체크해 봐야 함. 바로 지금 생난리를 치고 있는 가계동향조사임. 




여기서 데이타 이상일 경우 가능성은 3가지임. 


하나는 많은 사람들이 제기하듯이 2018년에 데이타 개편을 하면서 연속 비교가 어렵게 문제가 생겼다. 


다른 하나는 2015년 이후 1분위 소득이 지속하락 패턴을 보이는데, 가계동향조사를 폐지하기로 했던 2017년 데이타에서 이상하게 갑자기 하위 20% 소득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즉, 2017년 데이타를 빼면 저소득층의 소득은 2015년 이후 지속 하락 패턴이다. 


마지막은 지금까지 했던 거의 모든 가계동향 데이타가 잘못된 것이고, 2018년에서야 뭔가 제대로 되었다. 


뭐가 되었든 2017년이나 2018년 둘 중 하나의 가계동향조사 데이타에 문제가 있는건 아닌지 확인해 봐야할 필요성이 큼. 




데이타 문제가 아니라는 사람들은 이게 다 최저임금 인상 때문이라고 주장할 것.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겠지만 경활조사와 핀트가 안맞고 최저임금 인상의 순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가계동향조사 데이타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움.  


이런 결과를 볼 때, 정상적인 사회과학적, 통계적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라면 데이타 이상 가능성을 체크하는게 당연하지 않음?  


청와대에서 경제팀이 데이타 이상 가능성 체크할려고 했더니 통계청에서 데이타 원자료 안줄려고 뻐팅기고 데이타는 아무 이상 없다고 보도자료내면 이상하지 않음? 





Ps. 이 그래프는 제가 그린 것이 아닙니다. 경제 시계열 연구하는 이 블로그 독자분이 저에게 보내준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그래프가 맞는지는 위에 링크한 원소스를 찾아서 저도 확인해 보았습니다.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