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들면 노동현장에서 물러나 은퇴한다는 개념은 사실상 20세기 중반에 처음 생긴 개념이다. 그 전에는 노동은 힘이 닿는 한 평생하는 것이었다.

미국 센서스 자료를 보면 1900년대에 65세 이상 할아버지들의 70%가까이가 직업을 가지고 노동을 하였다. 가장 최근 센서스인 2000년 자료 (2010년 자료는 아직 미발표)를 보면 현재는 15% 내외에 불과하다. 55-64세 인구는 1900년대에 90%가 일을 하였으나, 지금은 70% 이하로 감소.

"은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자리잡은 것은 1940년대 이후, 루즈벨트 대통령 이후 "복지"라는 개념이 생긴 다음이다.

노년층에 복지를 제공하는 대신 은퇴를 시작하고,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는 젊은층에게 일자리를 내주는 경제체제가 이 때 생겼다. <인구 증가 + 노인 복지 + 일자리 증가>의 삼박자가 어울린 것. 20세기의 복지국가는 노동과 자본의 타협의 산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세대 간 타협의 산물이기도 했다.

한국은 노인복지도, 일자리 증가도, 인구증가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 은퇴를 강요받고 있다. 은퇴가 은퇴가 아니라 저임금 노동시장으로의 재진입이 되고 있는 듯. 젊은층에게 기회도 주어지지 않고.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