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gence 논문


스웨덴에서 1955년생 인구 1347명을 33-37년동안 추적 연구한 결과. 


평균보다 낮은 아이큐는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직업 위계를 초래하지만, 평균보다 아이큐가 낮다고 소득이 크게 낮지는 않음. 


스웨덴 남성 중에서 아이큐가 중간 20% 그룹의 대졸 학력 취득 비율은 18.3%인데 반해, 하위 20%인 그룹의 대졸 이상 학력의 비율은 2.5%에 불과함. 대학 학위 취득 확률에서 7배 이상 차이가 남. 직업 위계로 봐도 마찬가지. 아이큐에 따라 직업 위계의 차이가 큼. 


하지만 소득에서는 아이큐가 하위 20%인 그룸과 중간 그룹의 차이가 크지 않음. 남자는 하위 20% 그룹이 중위 그룹보다 15% 적게 벌고, 여자는 12% 적게 범. 


Table 2.

IQ group and average income in midlife. Employed only.

MenaWomenb
IQ group
 P00–2022,30013,500
 P20–4024,00014,900
 P40–6026,30015,400
Whole samplec28,20015,500


즉, 지능에 따라 학력과 하는 일은 차이가 나지만 경제적 삶의 수준은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아이큐가 낮은 집단의 직업 위계에 상관성이 없다는 것. 


마지막으로 아이큐가 비슷한 그룹 내(=동일 5분위)에서의 소득 격차를 보면, 그 내에서의 아이큐 격차가 교육 수준의 격차 보다는 교육에 대한 열망과 더 영향이 있다고 함. 교육에 대한 열망은 초등학교 6학년이나 중학교 2학년 때 의무교육을 넘어서 얼마나 더 교육을 받고 싶은지 물어본 것에 대한 대답임. 


인류가 지금까지 건설한 사회 중에서 불평등이 없는 사회는 없음. 능력에 따라 교육 수준이 달라지고 하는 일이 달라지는 건 모든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됨. 교육과 직업의 불평등을 없애는 사회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함. 


스웨덴이 한국같은 사회와 가장 다른 점은 능력과 하는 일이 달라도 경제적 삶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 기회의 평등 없이도 상당한 수준의 결과의 평등은 달성 가능함. 


이러한 결과는 사회학 계층론의 Davis & Moore 테제에 반하는 결과. 경제적 결과에 큰 격차가 없어도 사람들은 더 나은 교육과 더 나은 직업을 추구함.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