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A Contemporary Portrait of Life in Korea: Researching Recent Social and Political Trends.
미국에서 학부생을 대상으로 현대 한국사회론을 한 번 강의해보고 느낀게, 교과서가 마땅치 않다는거다. 한국 관련 책들은 많은데, 역사적 관점에 주목하거나, 발전론, 민주주의 이행론 등에 대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21세기 한국인의 삶과 인식이 어떤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책은 찾기 어려웠다. 학부 수업에서 교과서 없이 관련 논문을 찾아서 읽히고 토론하는 것도 고역이다.
오늘 아마존에 풀린 "A Contemporary Portrait of Life in Korea: Researching Recent Social and Political Trends"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해, 한국사회조사(KGSS)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사회학자(와 1명의 정치학자 하상응 교수)가 모여서 2003년부터 시작한 KGSS를 메인 자료로 분석한 책이다.
KGSS는 정부 공식 통계를 제외하고는 가장 품질 높은 조사자료로 여겨진다. 일부 학자들은 KGSS와 결과가 비슷하게 나오는지 여부를 조사 품질의 비공식적 척도로 삼기도 한다. 세계가치관조사(WVS)와 KGSS 결과에 차이가 있으면 대략 KGSS가 맞을 가능성이 크다.
읽기 엄청 쉬운 책은 아니지만, 학부 3-4학년 정도면 충분히 읽을 수 있는, 21세기 초 한국인의 삶을 종합적으로 조망하는 드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성균관대 김지범 교수가 에디터로 기획과 전체 조율을 담당했다. 저도 계층론 한 꼭지를 썼다. 작년에 포스팅했던 한국인의 계층인식 변화 그래프가 이 책의 챕터를 위해서 만든 그래프다.
책에서 쓴 내용을 한 가지 말하자면, KGSS에서 응답자가 15세 때 느낀 자기 집안의 계층 수준과 현재 느끼는 자신의 계층 수준을 10점 척도로 동시에 물은 적이 두 번 있다. 2009년과 2018년이다. 이 질문 항목에 절반 가까운 응답자가 현재 자신의 계층 수준을 자신이 15세 때의 계층 수준보다 높게 평가했다. 2009년과 2018년 사이에 거의 변화가 없다.
더 이상 개천룡이 나지 않는다는 담론이나, 자신은 중산층이 아니라는 평가는, 중산층이 무엇인가에 대한 평가 기준(골대)이 바뀌어서 그렇게 느끼는거다. 객관적인 척도의 변화도 아니고, 자기 자신의 이 전 세대와 비교한 평가도 아니다. 왜 척도가 바뀌었고, 왜 그렇게 인식하느냐는 그 자체로 중요한 질문이긴 하지만...
아래는 책의 12개 챕터 목차다. Preface와 KGSS 소개 챕터도 별도로 있다.
1. Democracy and National Identity in South Korea After 1987
- Jaesok Son
2. Living Together with Unease—Korean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 Seokho Kim and So Hyun Park
3. Religious Landscape in Korea
- Jibum Kim and Sori Kim
4. Trends in Gender Role Attitudes in South Korea
- Soo-Yeon Yoon
5. Familism in South Korea, 2006–2016
- Phil-Suk Kim and Yun-Suk Lee
6. Family-Related Values in South Korea: Temporal Changes and Cross-National Differences
- Bongoh Kye
7. Stratification and Economic Inequality in South Korea
- ChangHwan Kim
8. Embedded Economy and Work: Expectations and Fulfillments Before and After 1997
- Jae-Mahn Shim and Heijin Oh
9. Interpersonal Trust and Its Associations with Respondents’ Community Characteristics
- Jeong-han Kang and Eehyun Kim
10. Changing Perceptions of Societal Trust Among Koreans: Relative Deprivation, Downward Mobility, and Sociotropic Concern
- Harris Hyun-Soo Kim
11. Social Welfare Attitudes
- Dong-Kyun Im
12. South Korean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2003–2018
- Shang E. 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