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249건

  1. 2009.05.29 We all live in a yellow submarine
  2. 2009.05.29 광장의 계급론 2
  3. 2009.05.28 많다...
  4. 2009.05.28 “비정규직 차별임금 전액 지급” 2
  5. 2009.05.28 히스패닉 인구 2
  6. 2009.05.27 정당 지지율 변화: 노무현 효과 13
  7. 2009.05.27 줄어드는 정년트랙 교수직
우리 마을에 살았던 한 남자
1946. 8. 6 ~ 2009. 5. 23


Posted by sovidence
,

광장의 계급론

정치 2009. 5. 29. 00:53
이명박 정권의 광장 공포가 이해 안되는 건 아니다. 무섭긴 하겠지.

하지만, 공포는 미지의 것에 더 크게 느낀다는 점에서, MB정권의 광장에 선 사람들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는 꽝이라고 할 수 있겠다. 뭘 모르니 저 모양이다. 2MB 용량으로는 방대한 정보처리가 아무래도 무리인가 보다.

촛불시위가 한창일 때, 저녁 시간의 광장과 새벽 시간의 광장을 메운 사람들의 계급은 달랐다. 전자는 중산층이고, 후자는 룸펜프롤레타리아트이다. 전자는 평화적이고, 옐로카드를 드는데 관심이 있을 뿐이다. 경기가 스무스하게 흘러가기를 바란다. 반면 후자는 폭력적이고 레드카드와 난장판도 마다하지 않는다. MB정부가 촛불에 무너지지 않는 이유는 이 두 계급의 이해관곅와 시위양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광주민주화운동은 전자와 후자가 하나가 되어 시작했지만, 마지막에는 후자만 남았다. 시위양상에서 중산층이 룸펜계층을 제어하기 보다는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동조되어 갔다. 지도부가 확립되고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반군이 있지 않은 모든 소요사태의 중심에는 항상 룸펜이 자리잡고 있다. 심지어 많은 국가에서 반군의 지속적 인적 공급도 룸펜층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명박정부가 폭력적으로 전도되는 건, 중산층의 분노표출 방식이 룸펜들의 그것에 동조되어가는 바로 그 지점이다. 하지만 그런 일은 없어야 정상이다. 디제이와 노무현이 10년 동안 축적해온 경제의 펀더멘탈 덕분에 중산층은 아직도 경제적 측면에서 안온한 삶을 누리고 있다. 명박정부가 살아남은 것도 다 "노무현 때문"이다. 이 평안함을 자진해서 깰 중산층은 아무도 없다.

노무현 전대통령을 조문하기 위해 광장을 열라는 계급도 전자이지 후자가 아니다. 어떤 정치세력도 중산층이 누리는 평화를 깰 생각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B정권은 중산층을 위한 광장마져도 닫고 자신들만의 벙커로 깊숙히 들어가고 있다.

전직 대통령에게 마져 광장을 닫고, 전경차 틈새의 조그만한 공간만 허락하겠다는 이 가공할 무대뽀.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다. 명박정부에 대화와 소통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새벽의 폭력적 촛불에 굴복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저녁 시간의 평화적 촛불, 중산층의 다양한 요구에 조응하는 정상적 정부로 작용하라는 소리다.
Posted by sovidence
,

많다...

기타 2009. 5. 28. 13:56

요게 100달러로 100밀리언 (우리 돈으로 치면, 10만원 자기앞수표로 전노 등이 받아먹었다는 1000억)

요게 10억달러 (우리 돈으로는 1조?). 100불짜리로.




요건 1조달러. 왼쪽 구속에 빨간 점하나, 그게 사람이다. 우리 돈으로 따지면..... 걍 많다.



소스: http://www.pagetutor.com/trillion/index.html
Posted by sovidence
,
나이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5280052155&code=940301

정규직, 비정규직이라는 지위 상의 차이로 생기는 이런 불평등을 positional inequality라고 하는데, 불평등의 중요 요인 중 하나는 이처럼 회사에서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화된 관습이다. 교육이나 기술처럼 생산성과 관련된 요소가 아니라.

한국 사회는 그 비중이 다른 사회보다 너무 크다.

이런 불평등은 그냥 바꾸면 바꿀 수 있는 거다. 그리고 이런 불평등을 바꾸는 데는 사회적 "분위기"가 무척,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Posted by sovidence
,

히스패닉 인구

인구 통계 2009. 5. 28. 05:26
오바마가 히스패닉계인 Sotomayor를 대법관에 노미네이트한 이유 중 하나는, 다 아는 얘기지만,


미국의 출산율이 인구 재생산 레벨(2.1)을 가볍게 넘는 이유는 순전히 히스패닉과 흑인 때문이다. 백인과 아시안은 2 이하거나 간당간당하다. 아시안 인구가 늘어나는 이유는 재생산이 아니라 이민의 유입 때문. 유권자의 인구 구조 변화는 앞으로도 당분간 쭈~욱 계속된다.

70년대 닉슨이 시작한 인종간 혐오에 바탕을 둔, 암시적 백인 우월주의 선거전략은 인구구조 변화 때문이라도 지속되기 어렵다.

참고로 히스패닉이란 흑, 백, 아시안 같은 인종적 의미가 아니라, 라틴계라는 민족/문화 그룹을 의미함. 백인 히스패닉, 흑인 히스패닉, 아시안 히스패닉이 모두 존재.

그래프는 요기(Pew Research Center)서.
Posted by sovidence
,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실시한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나라당 지지율이 22%로 10%포인트 폭락하고, 민주당은 21%로 8%포인트가 올랐다. MB 지지율도 20%대 후반으로 폭락.

한나라당과 MB지지율 떨어지는건 이해한다고 해. 민주당이 한게 뭐가 있어서?

노무현 전대통령이 그래도 민주당 소속이라는 사람들의 생각 밖에는 다른게 없다. 식물정당에서 팔팔하게 살아 숨쉬는 대안정당으로 살아나는거, 한 순간이다. 이러다가 다 죽겠다는 생각을 사람들이 하기 시작한거다.

이 정국에서 선거구제 개편 같은 얕은 수로 노 전대통령의 유지를 이를려는 정치인은 별로 없을게다.

진보개혁세력은 <정치인들의 활동, 권모술수로써의 정치>와 <운동으로써의 정치>를 결합해야만 산다. 지금은 서로 다른 세력으로 분리되어 별도의 활동을 하던 두 정치를 화학적으로 융합할 절호의 찬스다. 노 대통령이 온 몸 던져 제시한 메시지다.

호남 중심의 민주당 재건론은 전자만 있지 후자가 없어서 성공할 수 없고, 친노세력 중심의 정면돌파론은 후자만 있지 전자가 없어서 성공할 수 없다.

한국사회의 경제적 변화 때문에 호남 중심 재건론이 타 지역, 타 계층과 연대할 수 있는 진보적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지역이기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커졌으며, 다수 대중의 물질적 욕망을 수용하기 어렵게 되었다. 하지만 진보적 호남과의 결합없이 한국 사회의 진보적 아젠다를 실현할 수 있는 역사적 정치적 능력은 현재도 없고 상상 가능한 미래에도 없다.

지역 등권론이 <운동으로써의 정치>도 포괄할 수 있었던 힘은 지역불균등 발전을 치유하는 경제적 함의와 5.18로 상징되는 민주주의 운동을 완성하는 정치적 의미가 있었기 때문이다. 영호남으로 대비되는 지역 불균등 발전 보다는 수도권 대 비수도권, 강남 대 강북으로 대비되는 계급 갈등의 의미가 더 커진 상황, 5.18 기념식마져도 내부 갈등을 겪는 현 상황은 호남이 더 이상 <운동으로써의 정치>의 바탕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반면 친노세력은 그 구성원의 활동에서도 그렇고, 정치적 성향에서도 계급갈등을 해결하려는 <운동으로써의 정치>를 가지고 있으나, 그들의 막연한 열망을 실현할 구체적인 아이디어도 없고, 정치활동을 통해 그들의 생각을 실현할 당선 가능한 정치인들도 없다.  친노세력이 그들의 순수 혈통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이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운동으로써의 정치>의 대의를 몇몇의 심리적 자족을 위해 내버리는 행위가 될 것이다. 전형적인 운동권 소아병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서 얼마전에 조사한 것처럼, 호남은 진보적 호남과 이기적 호남으로 분열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호남은 그 어떤 표밭보다 진보적이다. <운동으로써의 정치>를 추동하는 세력이 진보적 호남과 결합할 때, 진보적 호남이 지역이기주의적 호남을 압도하고 한국 사회의 변화를 추동할 수 있다.

어떤 정치도 실익과 명분을 분리해서 성공하지 못한다.

미국 공화당이 80년 이후 오랫동안 해먹을 수 있었던 것도 보수주의 운동과 정치를 결합했기 때문이고, 오바마가 성공한 것도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과 정치를 결합했기 때문이다. 루즈벨트가 새로운 미국, 새로운 세계의 역사를 쓴 정책을 펼친 것도, 미국 진보정치, 사회주의 운동의 아젠다와 지지를 그의 권모술수와 융합시켰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의 실패는, 그 역시 양자를 결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가 자신의 몸을 던져 마련한 마지막 승부수다. 지금 <정치인들의 활동, 권모술수로써의 정치>와 <운동으로써의 정치>를 결합함으로써 이 유지를 이어받아야 한다.

Posted by sovidence
,
한국만 모든 사람이 겸임교수가 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도 마찬가지. AFT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 사이에 이미 정년을 보장받았거나 연구 성과가 좋으면 정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정년트랙 교수직은 51%에서 39%로 12%포인트 감소하였다.

이 자리를 겸임교수, 연구교수 등등의 임시직들이 채우고 있다. 비정년트랙 교수직도 약간 증가. 미국에서 정년트랙 교수직 잡기가 점점 하늘의 별따기가 되어가는듯.

그래프는 요기
Posted by sovid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