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대학 졸업자들의 초임은 거의 줄지 않았다는 기사. 2009년에 졸업하고 취직한 대학졸업생의 임금은 작년 졸업생들과 비교해서 임금이 1% 이하로 줄었다. 평균 초임이 올해는 $49,307, 작년에는 $49,693.
잘나가는 엔지니어링 전공자들은 6만불대의 임금을 받은 반면, 리버럴 아트 전공자들은 3만불대의 낮은 임금을 받는다. oTL
임금, 고용 등은 한 번 고정되면 잘 바뀌지 않는 성향이 있는데, 이를 stickiness라고 한다. 한 번 임금 수준이 정해지면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단기간에 잘 변하지 않는다는 거고, 한 번 고용되면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단기간에 잘 안 짜른다는 거다.
가장 자유경쟁시장에 가깝다는 미국도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임금 수준은 단기간에 변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대졸 초임을 낮춰서 신규 모집 정원을 늘리자는 "압력운동"이 있었는데, 대졸 초임을 낮췄다는 얘기는 들리지만, 신규 모집 정원이 그에 비례해서 늘었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임금을 낮춰서 고용을 늘리자"는 아이디어는 좋지만 이 아이디어가 "사회적 합의"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반짝 아이디어로 집권층에 의해 강요될 때, 공기업 대졸초임의 임금을 낮추는 압력 이상의 효과는 없다. 한국 사회에서 부족한 것은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과 주체, 이들을 총칭하는 제도(institution)이지 아이디어 자체는 아닌듯하다.